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68)
글그림 (73)
창고 (88)
(4)
나는요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인생'에 해당되는 글 10건
2010. 4. 10. 07:45





생각한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_시인 폴 발레리










2010. 3. 31. 23:58





인생이란 무엇이 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며,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270









.

2010. 3. 20. 00:13





한편 토인비의 도전과 응전의 관계에서 파악한 역사철학이
나에게 많은 깨우침과 신념을 주었습니다.
당신이 아시다시피 나는 그의 저서를 거의 읽었는데
그의 역사 파악의 기본 시점은
도전과 응전의 관계에서 문명의 발생, 성장, 쇠퇴, 붕괴가 결정되어가는
거대한 드라마라는 입장에 서 있습니다.
……
우리가 원건 원치 않건, 사회이고 인간이고 간에
살아 있는 한 계속되는 도전을 면할 수 없다는 것이 역사의 진실입니다.
하나의 일을 성취하면 다음 응전까지 새로운 응전을 위한
잠시의 휴식은 있어도 결코 영원한 휴식은 없습니다.
……
그런데 사람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응전에 성공하면
그 성공에 안주하려 하는 속성의 동물이라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의 응전은 운명적으로 유한한
자기 당대에서의 성패에다 결승의 깃발을 꽂는
근시안을 버려야 할 것입니다.
다만 하느님의 정의와 인간의 양심에 충실한 응전자에게는
일시적 좌절은 있어도 영원한 패배는 결코 없다는
신념 속에 사는 것만이 우리의 생의 태도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의 응전은 언제나 당장에 승리할 수만은 없지만
그러나 언제나 주도권을 쥐고 나갈 수 있으며
또 반드시 그래야 합니다.
……
슬기로운 응전은 반드시 능동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사태에 따라서는 인내가 최대의 효과적 응전이 되는 것이겠습니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p.233-237










2010. 3. 20. 00:03





우리가 공부를 하거나 무슨 계획을 세웠어도 흔히 중단됩니다.
우리는 이런 데 실망하고 그 계획을 포기해버리기 쉽습니다.
나도 과거에 많은 실패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번 이래 생각을 바꿔서 무슨 계획을 세웠다 중단되어도
개의치 않고 다시 계속하고 그 다음 중단되면
다시 계속하는 습관을 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책 읽는 것, 어학 공부하는 것, 매일 조석으로 체조하는 것 등에
새로운 습관을 들여서 꾸준히 다시 시작하고
다시 시작하는 되풀이의 끈기를 체득하려 합니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256









2010. 3. 16. 00:27





성인이란 가장 많이 깨달은 분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그 깨달은 것을 자기를 희생시키면서도
민중에게, 제대로 알아주지도 않는 그들에게
전하고 헌신하지 않고는 배기지 못한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라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가 성인이나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들에게서 배울 것은
이웃과 겨레에 대한 헌신적 사랑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민중이 일시 알아주지 않더라도, 또는
우리의 이웃에 대한 사랑을
오늘의 대제사장이나 빌라도가 질시하고 박해하더라도
우리는 겨레와 이웃에의 사랑을 위해서 사는 것만이
자신의 인생을 성인의 길과 일치시키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p.227-228










2010. 3. 16. 00:23





산 정상에 오르는 길은 여러 갈래입니다.
우리는 코스를 정하기 전에
미리 신중한 고려 끝에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단 정하면 결코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가는 도중에 자기 코스가 가장 힘들어 보이고
남의 길은 쉬워 보여 변경의 유횩이 집요하지만
이를 용납해서는 안 됩니다.
그리하여 일단 정상을 정복하면
꼭대기에서는 어느 길로도 내려갈 수 있는
선택권이 생깁니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226










2010. 3. 16. 00:20





현대에 와서 인물이 적어지고,
전문가의 지식이 하등의 위력을 나타내지 못한 데는
여러원인이 있겠지만
그중 가장 큰 것은
사람들이 종합적인 인간 형성,

즉 전인적全人的 발전을 등한히 한 데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삶의 자세를 갖추는 데 언제나
사물을 근원적인 것과 표면적인 것을 합쳐서 파악하고
부분적인 것과 전체적인 면을 아울러 보아야 합니다.
강의 표면과 저류를 아울러 생각하고,
본류와 지류를 같이 파악해야 합니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225










2010. 3. 16. 00:16





인생은 도전과 응전이다.
어떠한 어려운 도전에도 반드시 응전의 길이 있으며
어떠한 불행의 배후에도 반드시 행운으로 돌릴 면이 있다.
이 진리를 깨닫고 실천한 사람은
인생의 성공을 얻을 것이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창, p.220










2010. 3. 16. 00:13





나의 경험으로는 신앙생활이건, 공부건, 선행이건,
모두가 너무 초조해하지 말고
그러나 절대 쉬지 말고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
제일 중요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안다.
그리고 이런 노력의 과정에서는
반드시 좌절이 있고, 의혹이 있고, 권태가 있으며,
또 이를 중단할 구실도 발견된다.
그런데 자기를 잘 설득하고 새로운 자각으로
새 출발하도록 유도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인생은 어떤 의미에서는
자기 자신과의 토론과 설득과 결심의 일생이며
새 출발을 거듭하는 일생이다.

_김대중, 《옥중서신1》, 시대의 창, p.204










2009. 7. 1. 00:08


대체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 것인지...

생계에 휘둘리며 빠듯하게,
조급하게 살아가는 제 모습에 자괴감이 들었습니다.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에서
말과 행동이 분리되어가는 제 자신이 메스꺼웠습니다.

부유하는 마음을 다독이려

'상록수', '아침이슬', '사랑으로', '광야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반복해서 듣고 또 들었습니다.
앞서가신 선진들의 위대한 정신이
저를 깨우기 시작했습니다.

쉽게 변하지 않는 인간 내면의 척박함 앞에서,
높고도 견고한 기득권층의 카르텔 앞에서,

좌절하고 쓰러져 있던 저는
일어나 다시 가야할 길을 모색해 봅니다.


하고 싶은 것, 해야할 것이 참 많이도 있지만
우선순위에 맞춰 하나 둘씩 감당해나가야지요.
조급해하지 말고, 천천히, 그러나 부지런히
정신줄을 놓지 않고 가야겠지요.
사회구조적 개혁 뿐 아니라
한 인간 삶의 변화를 돕는 것 역시
빛과 소금과 같은 일이기에
에너지 내서 더 열심히 삶을 살아야지요.

지금 우리가 살아숨쉬고 있음은
이 나라가 사람사는 세상이 되게 하기 위해
피흘려 죽어간 수 많은 분들의 은덕에 힘입은 것을
마음 속 깊이 기억하며 말입니다.

090601
_뱅글벙글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