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68)
글그림 (73)
창고 (88)
(4)
나는요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디자인'에 해당되는 글 7건
2010. 3. 26. 23:28





          자, 디자인이란 무엇인가는 이해할 수 있었겠죠. 다른 정의를 든다면 디자인이란 관계의 체계라고 하는 것이 있지. 회화도 마찬가지야. 문제의 모든 측면끼리의 관계니까. 즉 여러분과 캔버스에 그린 것 사이의 관계이고 여러분과 커터, 또는 지우개, 또는 펜하고의 관계야. 디자인의 일부가 되는 요소들끼리의 관계이지. 검정과 하양이건, 선이건, 덩어리이건.
          거기다 비례의 체계이기도 하지. 즉 크기의 관계를 뜻해요. 관계에 대해 생각하려 들면 나나 여러분이나 하루 종일이라도 떠들 수 있겠지. 끝이 없어. 디자인을 해내기 참 어려운 이유가 그거예요. 무언가를 할 때마다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너무 많아. 디자인하는 과정은 복잡함에서 단순함으로 가는 거야. 복잡한 부분에는 온갖 끔찍한 문제가 가득하지.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검토하고 헤아려 단순하게 만들기란 대단히 어려워.
          아마 피카소가 그림 그리기란 지워나가는 과정이라고 했지요. 그러려면 우선 뭔가 지울 것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야. 우리가 아주 복잡하게 얽힌 데서 시작하는 것은 그 때문이기도 하지. 하지만, 작품의 마무리는 단순한 것으로 되어야 해요. 이건 누구에게나 어려운 일이지. 강의 끝!

_마이클 크뢰거 지음, 신혜정 옮김, 『폴 랜드와의 대화』, 워크룸, 2009, p.43









2010. 3. 26. 23:22





          디자인이란 형태와 내용의 조작이다. 이런 정의라면 자기가 어디로 향하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겠지. 그럼 나는 앉아서 조작을 하겠어. 조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여러분들은 무엇을 하면 좋을까? 여러분들이 경험하는 과정이 조작의 한 측면이야. 바로 여러분이 하고 있는 것이죠. 내용이란 아이디어, 또는 주제야. 형태란 이 아이디어로 여러분이 하는 것이고.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색을 쓸까? 흑백으로 할까? 커다랗게 만들까? 조그맣게 만들까? 삼차원, 아니면 이차원으로 할까? 유행하는 것을 쓸까? 아니면 좀 더 진중한 느낌으로 갈까? 서체는 보도니, 아니면 바스커빌을 쓸까?
          이런 질문 전부를 스스로에게 던지는 것이죠. 이것이 디자인의 조작적 측면의 일부야. 그래서 주제에 대해 논의하려면 무엇에 대해 이야기 나눌지를 정의할 필요가 있어. 대개 사람들은 디자인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아무도 주제를 이해하지 못해. 누구도 생각한 적이 없어요. 개중에는 디자인이란 넥타이 무늬나 화장실 벽지, 양탄자 무늬에서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 그것이 디자인의 의미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에요. 그런 것은 디자인의 뜻하는 바가 아니지. 디자인 과정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그것들은 단지 장식에 지나지 않아. 그것이 사람들 대부분이 정의하는 정의야. 그래서 디자인이 불운한 말이라고도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우리 모두가 집착하는 말이지. 전기 르네상스로 거슬러 올라가면 화가이자 건축가인 조르조바사리는 디자인이란 모든 예술, 회화, 무용, 조각, 저작의 기본이자 토대라고 말했어요. 디자인은 모든 예술의 기반이에요. 모든 예술에서 형태와 내용을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디자인이나 그래픽 디자인이나 회화에서의 디자인과 다를 바 없어요. 이 견해에서 자연스럽게 결론을 끌어낸다면 디자인과 회화, 또는 디자인과 조각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고 모두가 똑같다고 잘라 말할 수 있겠지. 이 자리에 화가가 있다면 틀림없이 격하게 부정하겠지만 그건 상관없어요. 화가를 데려와도 돼. 누구든 아는 화가가 있으면 데려와주게.

_마이클 크뢰거 지음, 신혜정 옮김, 『폴 랜드와의 대화』, 워크룸, 2009, pp.42-43









2010. 3. 26. 10:32





●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  디자인은 형태와 내용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예술과 마찬가지로 디자인의 정의는 복합적이다. 하나로 정의할 수 없다. 디자인은 예술이 될 수 있다. 디자인은 미학이 될 수 있다. 디자인은 아주 단순한데 바로 그래서 아주 복잡하다.

디자이너는 예술가는 어떻게 다른가?
 :  디자인너와 예술가 사이에 차이는 없다. 둘 다 형태와 내용을 가지고 작업한다. 나는 예술을 창조하려고 애쓴다. 그것이 잘 되는가 아닌가는 내 소관이 아니라 신에게 달렸다.

좋은 디자인과 나쁜 디자인의차이는 무엇인가?
 :  나쁜 디자인은 부적절한 것이다. 피상적이고 가식적이다. 본디 요즘 세상에서 보게 되는 온갖 것처럼.

디자이너에게 기본이 되는 기량은 무엇인가?
 :  기본적 기량을 재능이다. 재능은 귀한 것이다. 완전한 직감이다. 직감은 가르칠 수 없다.

당신이 한 디자인이 대부분 수십 년 넘게 살아남은 비결은 무엇인가?
 :  단순함을 지켜라. 정직하라. 즉 자기 작업에 완벽하게 객관적이 되어라. 아주 열심히 작업하라.


폴 랜드의 마지막 강연에서 존 마에다와의 대화
_마이클 크뢰거 지음, 신혜정 옮김, 『폴 랜드와의 대화』, 워크룸, 2009, p.72










2009. 8. 20. 12:17





언젠가 시각예술 이론가 존 버거(John Berger)가 이런 말을 했다.
"우리가 볼 수 있을 때, 우리 또한 보여질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는 주체적 시각이 존재할 때 비로서 자신의 정체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_김민수,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중에서










2009. 4. 16. 00:51
유동인구가 많은 강남의 어느 버스정류장
에 착! 달라붙은 게릴라식 금연??? 캠페인.

타를 인지하지 못하는 권력 쥔 인간들
의 자기중심성으로 인해
점점 숨막혀만 가는 지구별 한국
에서 작게나마 숨통을 트여주는 몸짓.

->
죄송하긴요~

참담한 현실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발품파는
당신들의 모습에 그저 고마울 뿐이죠.

^.^

건강한 인간정신과 더불어 행복한 민주사회를 위해
바로 알고 끊을 건 끊읍시다요!
조아세! 화이팅!
덤으로 언소주도 화이팅!

090415

_뱅글벙글










2009. 4. 15. 00:06






창조란 인간의 생체 에너지를 외부로 밀어내는 일이다.

...생체 에너지는 지식과 경험에 의해 자라나고
삶으로 축적되어
디자이너의 몸 밖으로 밀려 나가
마침내 새로운 공간, 사물, 이미지로 전이된다.


...그러므로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일종의 생체 에너지를 전이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훌륭한 디자이너란
...이러한 에너지 전이현상이 숨을 쉬듯 자연스럽고
원활한 사람을 일컫는다.


_김민수, <필로디자인> 중에서









2009. 4. 7. 13:53
아침밥을 먹고 있는데
그림그리는의사 친구로부터
문자질문이 떴다.

어떤디자이너가 되려고 하냐고.
스스로를 한마디로 요약해 달라고.

쉽지 않은 질문이구려.
잠시 생각을 정리한 후

답문을 보냈다.

나는 디자이너가 되기 전에
생각하는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생각하는 사람이란 나와 너,
그리고 내가 발딛고 살아가는 현실에 대해
바로 알고
아는 만큼 행동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내가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생각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삶의 일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요약되지 않은 듯한 내 대답에
스스로 만족스럽지 못했는지
오늘 하루를 사는 동안
친구의 질문을 여러번 되새김질 했다.
질겅질겅 씹은 나의 생각은
자정이 될 무렵이 되어서야
동글동글한 염소똥이 되어 나왔다.

디자인은 나의 사유방식 중 하나입니다.
디자인을 통해 삶을 담아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

_뱅글벙글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