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68)
글그림 (73)
창고 (88)
(4)
나는요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클린트이스트우드'에 해당되는 글 1건
2009. 4. 5. 22:57
090330

몽족 깡패들의 총기난사로 타오네 집은 난장판이 되었고,
타오의 누나는 깡패들에게 성폭행 당한 채로 집에 돌아왔다.
이웃집에 살고 있던 월리(주인공: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깡패들의 행패에 분노하며 집안 물건들을 주먹으로 깨부셨다.

다음날 아침 월리를 찾아온 타오는
살기 어린 눈빛으로 당장 복수하러 가자고 다그쳤지만
월리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참을 골똘히 고민한 후 월리는 평소에 하지 않던 행동을 하기 시작했다.
욕조에서 담배를 태우고, 이발소에서 면도를 하고,
양장점에가서 옷을 맞추고, 그가 무시하던 신부를 찾아가 고해성사를 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이 모든 것이 죽음을 각오한 복수전을 암시하는 것이라만 생각했다.
한국전쟁에서 13명 정도의 사람들을 죽여본 경험이 있었던 월리는
영화 전반에 걸쳐 공격성이나 폭력으로 일관된 관계패턴을 보였기 때문이다.

월리는 혼자 몽족 깡패들을 찾아갔다.
깡패들이 쏘아올린 수십발의 총알은 월리의 몸통을 관통했다.
그의 무모한 용기의 결말이 허탈하게 막을 내리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나는 뒤늦게서야 그가 총기를 소지하지 않고
비무장으로 죽음을 맞이하러 갔던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불의에 맞선 월리의 마지막 선택은 바로 비폭력이었던 것이다.
나는 망치로 뒤통수를 한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그랜 토리노 Gran Torino

비폭력 평화 정신은

살상의 추억으로 평생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했던
월리 자신을 용서해주었을 뿐 아니라
죄씻음 받기 위해 스스로가 만들어 냈던
수많은 정결의 틀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주었다.
그의 위대한 선택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그의 재산은 사회에 환원되었다.
무엇보다 분신과도 같았던 72년형 그랜토리노를
더 이상 자신의 차고에 가두지 않고 타오에게 주었다.

그랜 토리노, 그랜 토리노...
음악과 함께 엔딩 자막이 올라갔다.
눈물이 흘러내렸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전쟁이란 무엇인가.
특히 한국전쟁이란 것이 무엇이었길래
외국영화의 모티브가 되었던 것일까.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국전쟁에 대해 아는 것 별반 없는 나란 존재는
도대체 무얼하며 살아왔는가.
나의 무지했던 삶에 또 다시 깊은 부끄러움을 느꼈다.

그리고 나는 월리의 마지막 선택처럼
죽음을 각오하고서라도 비폭력, 평화의 길을 선택할 수 있을까.
불의 앞에서 나는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_뱅글벙글











prev"" #1 next